본문 바로가기

65세 이상 기초연금 신청방법과 수급자격 총정리 (2025년 최신정보)

아이마이스토리 2025. 7. 4.
반응형

"기초연금이 궁금하신가요?"

65세 이상이상 누구에게, 얼마나, 어떻게 지급되는지 정리드릴게요.

2025년 최신 정보로 깔끔하게 알려드려요!

 

혹시 "기초연금"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셨나요?

아니면 "국민연금"이랑 헷갈리셨던 적 있나요?

 

나란히-벤치에-앉아서-활짝-웃고-있는-노인세명

 

저 역시 처음엔 '기초연금? 뭐였더라?' 싶었는데요.

이번기회에 부모님께도 알려드리려고 알아봤어요.

그리고 또 미래의 저에게도 필요한 제도인만큼 제대로 알아봤어요.

 

기초연금 수급 자격, 신청 방법, 수령금액, 그리고 국민연금과의 차이까지 깔끔하게 정리드릴게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뭐가 다른가요?

 

  기초연금 국민연금
제도 성격 복지제도 사회보험제도
기금 재원 국가 재정 가입자 보험료
대상사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재산 낮은 분
만 18세 ~ 60세 
의무가입
가입 여부 별도 가입 불필요  의무가입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등)
수급 조건 소득/재산 기준 충족 최소 10년 이상 납부
수급 시기 만 65세 이상 만 63세 이상
(출생연도 별 상이)
중복수령
(기초+국민)
가능 가능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혼동하시는데요.

둘은 엄연히 다릅니다!

쉽게 말해, 기초연금은 '국가가 주는 용돈' 이예요.

국민연금은 '내가 저축한 연금' 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해요.

1988년 이전에는 국민연금이 없었기 때문에, 그전 세대가 은퇴하게 되면 연금이 없었죠.

그래서 '노후빈곤'을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지원으로 기초연금이 탄생했다고 하네요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신청하는 방법

  기초연금 대상자
연령 만 65세 이상
국적 대한민국
거주지 국내 거주자
소득기준 선정 기준액 이하
신청 방법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방문)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행저복지센터
신청 기간 연중,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필요 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배우자 금융정보제공동의서
* 필수 서류
전/월세 계약서
* 해당자에 한함
기초연금 문의 129
(보건복지부 기초연금과)

 

기본연금-신청과정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이고 소득 기준에 맞다면 받으 실 수 있어요! 

기초연금은 자동 지급이 아닌 '신청'이 필수예요.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행정복지센터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에서 간편하고 쉽게 가능

1. 복지로 로그인 (필수!)

 

 

복지로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복지포털이에요.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 후 로그인 해 주세요!

서비스 신청에서 '복지급여 신청'을 눌러주세요!

 

2. 복지급여 '노년' 기초연금 선택하기

 

복지서비스 신청 페이지로 들어오셨으면, 아래 '노년'에 보이는 '기초연금 신청하기'를 선택해 주세요!

그리고 아래에 있는 저장 후 다음 단계를 눌러주세요!

 

3. 기초연금 신청하기

 

그러면 이렇게 '신청하기' 버튼이 보이실 거예요.

눌러주시고 필요한 서류를 모두 첨부해 주시면 됩니다!

 

기초연금은 심사를 걷쳐 1개월 정도 후에 받은 실 수 있어요.

반드시 본인이 신청해야 받을 수 있으니 꼭 신청해 주세요!

 

주민센터 방문 직접 신청하기

직접 방문하실 경우,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행정복지센터로 가시면 됩니다

현장에서 신청서와 아래 서류를 작성하게 되실 거예요

서류가 누락될 경우 접수가 반려되거나, 재 방문 하실 수도 있으니 유의해 주세요.

꼼꼼히 챙기세요!

  • 신청서
  • 금융정보등제공동의서
  • 소득/재산 신고서
  • 수급희망 이력관리 신청서

단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이 되셨다고 모두 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에요!

한정된 국가예산인 만큼 그 범위도 한정되어 있네요. 

아래 가구당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께 드려요

 

가구당 소득 < 기초연금 선정기준

 

  단독가구 부부가구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2,280,000 원 3,648,000 원

 

2025년 기준의 선정 기준액이래요.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이에요.

(월 소득평가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이 기준 이하라면 수급 가능성이 있으니 꼭 신청하세요!

 

다음과 같은 기타 연금 수급자는 기초연금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수급 대상 제외
기타 연금 수급자 공무원연금,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
국민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아마도 충분한 연금을 받고 있다고 생각해서이겠죠?

(받으시는 분들은 아니겠지만요 ㅎㅎ)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제일 궁금한 게 연금 액수겠죠?

기초연금액 산정은 2025년 기준 월 최대 342,510원이 지급되고 있어요.

다만 수령금액은 매년, 그리고 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져요. 

 

  기준연금액 수령자
수령금액 월 최대 342,510원
해당자
국민연금 미 수급자
국민연금 월 급여액이
513,760원 이하인 분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장애인 연금
수급권자 등

 

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중복 수령 가능해요!

단,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은 조정돼요.

국민연금을 적게 받거나 아예 안 받는 분들이라면?

기초연금을 더 많이 받는 구조인 거죠!

 

 

기초연금이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시다면?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기초연금 모의 계산을 이용해 보세요.

간단한 소득과 재산 정보 입력하면 예상 수령금액을 알려줍니다.

 

기초연금은 노후 빈곤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사회안정망이네요.

만 65세 이상이 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조건 맞는다면 국가에서 주는 용돈정도 되겠어요.

신청은 필수예요! 

 

 

반응형

댓글